감상
-
(감상) 2023년 6월 11일 ~ 6월 16일감상 2023. 6. 11. 22:32
뜻밖의 바닐라 - 이혜미 일단 뒷편의 해설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 문학평론가는 이 시집에 대해 서사적 요소가 두드러진다고 파악하고 전체적으로 '사랑의 연작시'라고 이야기한다. 그런 서사적 요소를 이루는 바탕으로 존재의 형식, 사건의 형식, 배경의 형식을 제시한다. 존재의 형식은 '인간', '물고기', '나무' 등의 등장인물이 '얼굴', '눈', '입', '피' 로 특수화되어 나타난다. 사건의 형식은 물질적 이미지인 물, 뼈, 빛, 피, 소리 등이 사랑의 상처와 고통을 극복의 시도로 나타난다. 배경의 형식은 시간적으로 계절(기후), 공간적으로 주체의 안과 밖으로 나타난다. 해설자는 이런 서사적 요소들의 쓰임을 또 4개의 파트로 구분하여 어떤 식으로 시에 적용되어 있는지 설명한다. '물'의 과잉으로 인한 ..
-
(감상) 무구함과 소보로, 보노보 핸드셰이크, 그래서 우리는 달에 간다, 폭탄, 밤에 우리 영혼은,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지다감상 2023. 6. 6. 13:12
무구함과 소보로 - 임지은 시집은 뒷 해설을 읽으면 그나마 읽어야 하는 방향이 조금은 보이는 듯 하다. 문제는 시도 어렵지만 뒷 해설도 어렵다는 점이다. 소설만 읽어왔으니 당연히 그럴 수 밖에 없다. 더해서 요즘 조금씩 읽는 현대시들은 옛날의 서정시와는 달라서 '은유', '환유' 같은 학교에서 배웠던 암호 풀이들이 적용이 안 되는 것 같다.(물론 해설에서는 그런 용어를 쓰면서 분석한다. 문학평론가들 존경스럽다.) 오히려 암호 풀이는 시집 전체적으로 반복되는 모티프들을 읽어내고 시인의 심상을 짐작해 나가는 방법이 옳은 것 같다. 코끼리나 검은개, 벽을 뚫고 나가기, 엄마 같은 심상들은 하나의 시에서는 도저히 읽어낼 능력이 안된다. 시집 내의 다른 시들과 비교해서 어떤 식으로 쓰였구나 조금은 짐작할 수 있을..
-
(감상) 홍학의 자리, 테라피스트, 클라라와 태양, 시 읽는 법, 페퍼민트감상 2023. 6. 3. 09:52
홍학의 자리 - 정해연 서술트릭 그 자체는 미스터리를 평소 접했던 독자층이라면 그렇게 새로운 것이 아닐 수 있다. 이 책에서 가장 튀는 점은 사실 등장인물의 조형이라고 본다. 작가 후기에서도 '인정'을 테마로 글을 진행해 나갔다고 쓰고 있다. 사회학자인 미드의 이론인 주어 나(I)와 목적격 나(me)의 갈등에서 생겨나는 긴장감 위주로 글을 끌고 나간다. 대부분의 주인공은 '겉'과 '속'이 다르다. 특이한 점은 그것이 개인의 성격상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즉, 일본 미스터리에서 흔히 보았던 '혼네'와 '다테마에'식의 캐릭터의 성격에서 생겨나는 갈등보다는 인물의 처해있는 가정과 사회, 즉, 체계(system)와 생활세계(lifeworld) 사이의 틈에서 생기는 물적 갈등이 주를 이룬다. 그 점이 작품의 ..